2011. 1. 11. 13:56 강의교과목/겨울세미나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8건
- 2011.01.11 [겨울세미나용 `solver.zip`]
- 2010.11.02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BK21 세미나 (2011학년도 2학기)
- 2010.11.02 `폐탄광 광해방지사업 비용 대비 7.7배 효과`
- 2010.11.02 심층수, 육지로 치솟다
2010. 11. 2. 10:21 강의교과목/고대 BK21 세미나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BK21 세미나 (2011학년도 2학기)
2nd semester, 2011,
Seminar Outline
1. INSTRUCTOR:
Seung-Hoon Yoo (Ph.D.)
Professor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E-mail: shyoo@seoultech.ac.kr
2. OBJECTIVES & OUTLINE:
(4:00 pm to 6:30 pm , 5 October 2011) Analysis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Demand
First, this seminar will explore some recent research topics in natural resources economics, and take the student beyond the geometry of the typical natural resources economics course. Main focus is on analysis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demand function.
n Unit root,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
n Shot-run and long-run elasticities
(4:00 pm to 6:30 pm , 12 October 2011) Causality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Second, this seminar will cover causality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applications of the analyses will be explained. The specific topics covered in the seminar are:
n Granger-causality
n Hsiao’s approach
(4:00 pm to 6:30 pm , 19 October 2011) Pricing and Structure in Energy Industry
Last but not least, this seminar will deal with pricing and structure in natural resource industry. Theorie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issues will be explored. Real world applications will be also supplied. A strong understanding of the basic theory of the issues is the main focus of the seminar. The specific topics are for each student to be expected to understand:
n First-best Pricing, Second-best pricing, and Ramsey Pricing
n Natural Monopoly, Economies of Scale, and Economies of Scope
[Click here to download class pack! A password is required to uncompress it]
2010. 11. 2. 10:10 연구활동/언론보도
`폐탄광 광해방지사업 비용 대비 7.7배 효과`
[연합뉴스 2010년 7월 7일]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 수질 및 토양오염 등 광산개발로 말미암은 환경피해를 복구하는 광해방지 사업이 비용 대비 7.7배의 효과를 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은 호서대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 유승훈 교수)에 의뢰해 폐탄광 광해방지 사업의 비용.편익을 분석한 결과, 1원을 들이면 7.7원의 편익이 생긴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7년부터 3년간 폐탄광 광해방지사업의 비용편익을 현재가치로 분석했을 때 979억4천만원의 비용을 들여 7천525억4천만원의 편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광해방지사업비 740억7천만원을 기준으로 할 때 이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생산유발 효과는 1천186억1천만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421억7천만원, 취업유발 효과는 412.6명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이재 이사장은 "이번 조사결과는 광해방지사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높고 녹색성장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해외 자원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선 광해관리, 후 자원확보' 전략을 통해 베트남, 몽골 등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활동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료비 덜 든다" 너도나도 전기로 교체 (0) | 2013.01.09 |
---|---|
심층수, 육지로 치솟다 (0) | 2010.11.02 |
해양신재생에너지 가능성 타진 (0) | 2010.11.02 |
[와이브로, 성공의 조건](3)키를 쥔 후방산업계 (1) | 2010.11.02 |
“방송기금, 부담금 수수료 분리” (0) | 2010.11.02 |
2010. 11. 2. 04:17 연구활동/언론보도
심층수, 육지로 치솟다
[중앙일보 2007년 10월 10일 기사]
◆관련 제품 잇따라=해양 심층수 관련법은 8월 국회를 통과하고 내년 2월 초 발효된다. 하지만 관련 제품은 벌써 출시되고 있다. 움직임이 활발한 곳은 해양 심층수 개발업체인 워터비스. 지난달 해양 심층수로 만든 스킨케어 화장품 ‘아이어트리’를 선보인 데 이어 다음달엔 롯데칠성과 손잡고 ‘블루마린’ 생수 제품을 출시한다. ‘딥스’라는 자체 브랜드로 미네랄 워터와 소금 제품 등도 내놓을 계획이다. 10일에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해양 심층수의 의학적 효능에 관한 세미나를 연다.
음료시장에서 선수를 친 곳은 CJ제일제당이다. 해양 심층수 취수 업체인 울릉미네랄이 울릉도 인근 650m 심해에서 채취한 물을 제품화해 ‘울릉 미네워터’라는 이름으로 이달 초 물건을 내놨다. 이들 음료는 아직 관련법이 시행되지 않아 ‘물’이 아니라 ‘혼합음료’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이에 앞서 대선주조의 ‘시원 프리미엄’ 소주, 해태제과의 ‘생생칩’ 등 해양 심층수를 원료로 한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됐다.
◆5년 뒤 시장 1조원 기대=유승훈 호서대 해외개발학과 교수는 “해양 심층수가 음료·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쓰이면서 관련 시장이 내년 1700억원에서 2012년에는 1조원으로 급성장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로 인한 생산·취업 유발 효과가 2010년 기준으로 각각 1조556억원과 9311명으로 전망됐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곳은 생수 시장이다. 웰빙 바람으로 매년 급성장해 온 생수 시장은 해양 심층수로 만든 ‘프리미엄 제품’의 등장으로 그 규모가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현상 기자
'연구활동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료비 덜 든다" 너도나도 전기로 교체 (0) | 2013.01.09 |
---|---|
`폐탄광 광해방지사업 비용 대비 7.7배 효과` (0) | 2010.11.02 |
해양신재생에너지 가능성 타진 (0) | 2010.11.02 |
[와이브로, 성공의 조건](3)키를 쥔 후방산업계 (1) | 2010.11.02 |
“방송기금, 부담금 수수료 분리” (0) | 2010.11.02 |